명령하기 3 핵심 기법 - 챗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
명령하기 3 핵심 기법 - 챗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
채널: promptStrategies
https://youtu.be/EMRVyxkTmOY
이 영상에서는 #ChatGPT 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, 특히 #명령 형태로 지시하는 기법에 대해 설명합니다.
Q: 명령형태로 지시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?
A: #ChatGPT 는 도구이기 때문에 사람처럼 #존대말 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. 오히려 딱딱하고 명확한 #명령어 를 사용하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"설명하라", "나열하라"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ChatGPT는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답변을 제공합니다.
Q: 명령어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?
A: 명령어를 사용할 때는 #제한 사항을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정 정보를 제외하고 싶을 때는 "제외하라"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채GPT를 잘 쓰는 유용한 방법들 다섯 가지를 제시하라. 단, 매우 상식적인 것은 제외하라"라고 명시하면, ChatGPT는 더 구체적이고 관련성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업무자동화를 위한 기술 세 가지를 제한하라. 단, 투자가 많이 필요한 것은 제외하라"라는 조건을 붙이면, ChatGPT는 RPA, 노코드 플랫폼, AI 기반의 문서 및 데이터 처리 도구 등으로 답변을 좁힐 수 있습니다.
Q: 객관식 문제로 바꾸는 방법은 무엇인가요?
A: 주관식 질문 대신 #객관식 으로 질문을 하면 ChatGPT가 더 구체적인 답변을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 "매출을 늘리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가?" 대신 "시즌별 할인 이벤트와 포인트 정립 시스템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?"라고 질문하면, ChatGPT는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더 정확한 답변을 제공합니다. 이는 선택지를 명확히 제시하여 답변의 범위를 좁히고, 필요 없는 정보를 걸러내는 데 유용합니다.
Q: 존댓말 사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
A: 한국어의 존댓말 사용은 #ChatGPT 에게 불필요합니다. 존댓말을 사용하면 오히려 명확한 지시를 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. 간결한 명령 어투를 사용하는 것이 더 명확하고 효과적인 지시가 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왜 그런가요?" 대신 "나열하라", "설명하라"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.
영상에서는 다음 세 가지 핵심 기법을 강조합니다:
1. 명령형 동사를 사용하라: "제안하라", "설명하라", "나열하라" 등의 명령형 동사를 사용하면 ChatGPT가 명확하고 체계적인 답변을 제공합니다. 이러한 명령어들은 ChatGPT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2. 제한 사항을 명시하라: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하고 싶을 때는 제한 사항을 명시하여 원하는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상식적인 것은 제외하라", "투자가 많이 필요한 것은 제외하라" 같은 조건을 붙이면 더 구체적이고 관련성 높은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3. 객관식 문제로 바꾸어라: 주관식 질문 대신 객관식으로 질문하여 더 구체적이고 관련성 높은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. "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가?" 같은 질문을 통해 ChatGPT의 답변을 구체화하고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#ChatGPT 를 사용할 때는 이를 도구로서 인식하고, 혼동이 적도록 명확한 명령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친절하고 간곡한 부탁이 아니라 명확하고 간결한 명령어를 사용하여 더 효과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유튜브 영상을 보시면 훨씬 도움이 되실겁니다.
https://youtu.be/EMRVyxkTmOY